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득효과2

가격변화는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기펜재 대체재 보완재 가격변화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로 나눌 수 있어. 쉽지 않은 내용이니까 잘 이해해 보길 바래. 귤을 사기위해 과일가게에 갔어. 그런데, 사과 가격이 떨어진거야. 그럼 귤보다 사과를 구입하는 것이 더 유리하겠지. 그래서 사과 소비가 증가한다. 이것이 대체효과야 같은 용도를 지닌 2가지 상품의 가격이 변하는 경우 값이 떨어진 상품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을 말해 그래프로 보면 사과가격이 떨어지면 한계비용곡선은 아래로 이동하겠지 다음으로 사과구입량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다른 재화를 구입하는 자금량이 늘어나. 상대적으로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므로 사과 가격 인하는 소득확대와 같은 효과를 내. 그결과 한계편익곡선이 위로 이동. 모든 재화가 이런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야 보통 정상재의 경우 이런 가격변화에 따른 한계비용곡.. 2021. 1. 23.
소득효과 정상재 상급재 열등재 하급재 월급이 오르면 어떻게 될까 가계소득이 증가했으니 소비할 수 있는 자금이 증가한거지. 소비 전체의 자금량이 증가했으니 소비량이 확대될 꺼야 월급이 오르지 않았어도 유가가 내려가면 실질소득은 오르겠지. 쓸수있는 돈이 더 많아졌어. 가계소득의 변화가 재화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소득효과라고 해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증가하는 데, 이런 재화를 정상재, 상급재라고 해 사과를 예로 들어 볼까 사과 소비량이 그대로인데 소득은 늘어났어. 그럼 다른 과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날 수 있어. 예를 들어 귤의 소비량이 늘어나겠지 귤의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사과가 더 신선하다고 느껴질 것이고 귤의 소비량이 늘어나기 전보다 사과 소비에서 얻을 수 있는 한계효용이 증가하게돼. 그 결과 사과의 한계편익곡선이 위로 이동해 결국,.. 2021.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