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로축에는 가격, 가로축에는 공급수량을 표시하고 판매가격과 기업의 공급량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공급곡선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도 많아지고,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도 적어진다.
과일가게 사장이 되어보자.
1개에 1000원하던 사과가 1개에 1500원으로 가격이 오르면 더 많은 사과를 팔고 싶어지지.
반대로 1개에 700원으로 하락하면 팔고싶은 양은 줄어들게 될꺼야.
이런 상황이 공급량의 변화야. 즉 재화가격이 변함으로써 공급량이 변화가 되는 거지.
그런데, 공급은 재화의 가격만 영향을 받을까?
과일가게 직원의 월급을 올려줘야 한다고 하면 생산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지금보다 한계비용이 상승하겠지. 지금처럼 1개에 1000원으로 판매한다면,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공급이 감소할 거야. 기존의 공급곡선보다 왼쪽으로 이동할 거야. 이것이 공급곡선의 이동이야. 임금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어. 날씨라든가 기술적인 문제(병충해)같은 요인들로 공급곡선이 이동할 수 있어.
반응형
'경제 배우기 > 경제 기초(미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효용을 극대화하는 조건 최적의 소비 (0) | 2021.01.23 |
---|---|
공급의 가격탄력성 가격에 대해서 공급이 탄력적인 재화 VS 비탄력적인 재화 (0) | 2021.01.23 |
수요의 가격탄력성 (0) | 2021.01.23 |
수요곡선 수요의변화 vs 수요량의변화 (0) | 2021.01.23 |
가격이 소비와 공급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가격과 수요, 공급의 관계 한계비용 한계편익 (0) | 2021.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