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급의 탄력성에 대해 알아보자.
공급의 탄력성은 가격이 1%상승했을 때 공급량이 몇%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거야
공급의 탄력성 = 공급의 증가폭(%) ÷ 가격의 증가폭(%)
공급의 탄력성이 크면 클수록 가격이 상승했을 때 공급량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
반대인 경우, 공급의 탄력성이 작으면 작을수록 가격이 상승해도 공급이 별로 늘지 않기 때문에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가파르지.
탄력성을 알아볼때는 기간이 중요해. 단기적이냐, 장기적이냐로 말이지.
일반적으로 단기적으로 단기적인 수요,공급의 변화는 가격의 변화와 비교하면 미미해. 예로 커피값이 단기적으로 올라도 커피 애호가는 갑자기 녹차로 바꾸지는 않겠지. 또 기업입장에서도 가격이 올라서 바로 공급을 늘리기에는 생산능력에 한계가 있어. 생산설비를 더 늘린다던지, 직원을 더 채용한다든지 말이야.
그런데, 장기적이라면 커피값이 장기적으로 계속 오른다면 커피 애호가들도 부담을 느끼고 녹차같은 대체품을 찾을 거고, 기업입장에서도 생산능력을 늘려 공급량을 늘리겠지.
단기적으로는 비탄력적인 수요 또는 공급도 장기적으로는 훨씬 더 탄력적일 수 있어. 그래서 단기보다는 장기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더 완만해(헷갈리지마, 기울기가 더 완만한게 더 탄력적인 거야)
그래서 탄력성을 말할 때 단기인지 장기인지 구별하는게 중요해.
반응형
'경제 배우기 > 경제 기초(미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효과 정상재 상급재 열등재 하급재 (0) | 2021.01.23 |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효용을 극대화하는 조건 최적의 소비 (0) | 2021.01.23 |
수요의 가격탄력성 (0) | 2021.01.23 |
공급곡선 공급곡선의 이동 (0) | 2021.01.23 |
수요곡선 수요의변화 vs 수요량의변화 (0) | 2021.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