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은 노동자를 고용하고 자본과 기계 등 설비를 사용해서 생산활동을 하는 경제주체이다
이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 라고 모두 알고 있어.
어떤 사람들은 기업의 목적을 사회적책임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주주의 이익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어. 모두 맞는 말이야. 이것들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장기적으로 이윤추구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야
기업의 이윤추구라는 목적에서 생각해보자
먼저 생각해보아야 할 사항이 기업의 생산활동이야
생산함수란 생산요소(노동력, 자본등)와 생산물과의 기술적인 관계를 나타낸 것이야
생산요소와 생산량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 보자
노동(x)이라는 생산요소를 투입해서 생산물을 만들 때 생산량(y)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야
그래프를 보면 x가 증가하면 y도 증가해,
하지만 그 증가하는 기울기가 점차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이 부분이 중요한 개념이야
생산요소를 늘렸을 때 생산량은 일정하게 늘어나지 않고 생산량이 점점 줄어든다는 말이야
이것이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이야
반응형
'경제 배우기 > 경제 기초(미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격조정 가격수용자 (0) | 2021.01.23 |
---|---|
비용곡선 한계비용 이윤의 극대화 (0) | 2021.01.23 |
가격변화는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기펜재 대체재 보완재 (0) | 2021.01.23 |
소득효과 정상재 상급재 열등재 하급재 (0) | 2021.01.23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효용을 극대화하는 조건 최적의 소비 (0) | 2021.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