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학에서 잉여란 양적개념이야
소비자잉여는 소비자의 이득을 양적으로 나타내보고자 하는데서 출발
소비자잉여를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지불용의부터
소비자의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 WTP)는 소비자가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한의 금액이야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가계의 주체가 철수, 영희, 길동, 만득 딱 네명뿐이라고 가정하자.
삼성에서 새로운 휴대폰이 나왔어
철수는 휴대폰의 가격이 100만원이면 구매할 의사가 있어
영희는 95만원, 길동은 90만원, 만득이는 85만원이면 구매할 의사가 있어
구입희망자 4명의 지불용의를 표로 나타내 보면
구입희망자 | WTP(만원) |
철수 | 100 |
영희 | 95 |
길동 | 90 |
만득 | 85 |
이 표를 누적해서 표현해볼께
가격(만원) | 소비자 | 수요량 |
100초과 | 없음 | 0 |
95초과 ~ 100 | 철수 | 1 |
90초과 ~ 95 | 철수,영희 | 2 |
85초과 ~ 90 | 철수,영희,길동 | 3 |
85이하 | 철수,영희,길동,만득 | 4 |
수요곡선으로 나타내면
이 네명의 수요곡선은 계단모양이지만
구매자가 무수히 많으면 수많은 계단은 점차 부드러운 곡선이 될거야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는 지불용의 금액에서 실제 지불금액을 빼면 돼
소비자잉여 = 지불용의금액 - 지불금액
소비자가 시장 참여로부터 받는 혜택의 크기라고 생각하면 돼
수요곡선에서 수요곡선의 아래부분과 가격수준 윗부분의 면적이 바로 소비자 잉여부분이야
그래프를 보다시피
가격이 하락하면 소비자잉여는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잉여는 감소해
반응형
'경제 배우기 > 경제 기초(미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자잉여 (feat.판매용의) (0) | 2021.01.23 |
---|---|
가격조정 가격수용자 (0) | 2021.01.23 |
비용곡선 한계비용 이윤의 극대화 (0) | 2021.01.23 |
생산함수 한계생산체감의 법칙 (0) | 2021.01.23 |
가격변화는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기펜재 대체재 보완재 (0) | 2021.01.23 |
댓글